다중수원관리를 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 경보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이승환, 인하대)
http://inha.dcollection.net/public_resource/pdf/200000259767_20210311235749.pdf
Study on Real Time Remote Monitoring and Alarm System for Management of Multiple Water Sources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대학원
이승환
요 약 문
환경부에서는 수질환경보전법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로 개 정하면서, 호소 및 하천과 취·정수장 그리고 하·폐수 처리시설에 국가수질자동 측정소 및 수질원격감시체계(TMS) 구축 등 물 관리를 위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하·폐수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배출허 용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태독성 통합관리제 도(WET: Whole Effluent Toxicity)”를 도입하여, 2007년 상기 법의 시행규 칙을 개정하고 배출허용기준에 생태독성기준을 추가하여 1, 2종 사업장은 2011년 1월 1일부터 3, 4, 5종 사업장은 2012년 1월 1일부터 물벼룩을 이용 한 생태독성 평가가 적용하게 되었다.
실제로 환경부는 2000년대 이후부터 주 요하천에 물벼룩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상시 모니터링을 하고 있 으며 이를 통해 수질원격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녹조류(반달말)를 활용한 생물감시장치 인 녹조류 생물감시장치를 활용하여 생태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측정원리와 일부 독성물질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 다중수원에서 수질사고 시에 적용가능 여부 및 IT/ET 융합 기술을 이용한 생물학적 실시간 원격감시 및 경보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다중수원(하천, 호소, 취∙정수장, 하∙ 폐수처리장)에서 Field Test 진행을 통 하여 한강 선유도 상한선 4.02, 하한선 -5.59, 대구 남천 상한선 12.27, 하한 선 -7.34, 대청호 상한선 4.34, 하한선 -6.55, OO전자 폐수처리장 상한선 5.39, 하한선 -3.86, OO시 하수처리장 상한선 22.52, 하한선 -15.48로 녹조 류 생물감시장치를 적용 및 관리가 가능함을 확인 하였고, 독성물질 유입 시 상기 다중수원에 설정된 관리 기준을 초과하여 독성값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 하여 다중수원에서 독성물질 유입 시 조기에 모니터링하고 경보를 울려 신속 하게 전파가 가능하다.
- ii - ABSTRACT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has revised the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to "Water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Law", strengthen a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water quality measurement center and a water quality tele monitoring system. However, sinc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et emissions tolerance standards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contained in waste water, introduced the "Whole Effluent Toxicity(WET)" In 2007,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above-mentioned Act were amended and the ecotoxicity criteria were added to the emission allowance standards. As of January 1, 2011, the 1st and 2nd business sites will be affected from January 1, 2012 to the third, The ecotoxicity assessment using the method was applied. In fact, since 2000,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has installed biological monitoring devices using water fleas in major rivers and has been continuously monitoring them, thereby strengthening the water quality remote monitoring system.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cotoxicity experiment using a biological algae biological monitoring system using a green algae, the principle of measurement and its response to some toxic substances and its applicability in multiple water source water accidents and real time remote monitoring and alarm system using IT / ET convergence technology is proposed. Field test is conducted at multiple water source (river, lake, water intake, water treatment plant, sewage treatment plant, wastewater - iii - treatment plant) as a result, the upper limit of the Sunyudo is 4.02, the lower limit is -5.59, Daegu south stream upper limit is 12.27, lower limit is -7.34, Daecheong lake upper limit is 4.34, lower limit is -6.55, OO electron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upper limit is 5.39, Lower limit is -3.86, OO sewage treatment plant upper limit is 22.52, Lower limit is – 3.86, it i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and manage the algae biological monitoring device. In case of toxic substance input, it is confirmed that the toxic value is expressed in excess of the management standard set in multiple water sources, so that it can be quickly propagated by early monitoring and alarming when toxic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multiple source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