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2일 목요일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측정원리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측정원리
 
1) 반달말의 형광을 측정한다.
 
반달말의 광합성반응은 엽록체에서 일어나며, 에너지 생산을 위해서 특정 파장의 빛을 받아들이고 특정 파장의 빛(형광 Fluorescence)을 방출한다.
 
반달말의 상태나 반응유입물질에 따라서 방출되는 형광량과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반달말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2) 측정원리

그림 1. 반달말의 광합성 기작에 따른 680nm형광측정
 
반달말에 Blue계열 파장(440nm)의 빛을 투사하여 방출되는 Red계열 형광(680nm)의 빛을 모아 Sensor에서 측정하여 반달말의 건강상태와 유입물질의 독성여부를 판단한다.

그림 2.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운용원리
 
반달말 감시장치 운용원리는 반달말의 정상 상태 형광량 (대조구: reference)과 독성물질 유입시의 형광량(실험구 : sample)을 동시 측정 후, 그 차이를 비교하여 생태독성의 정도를 나타내고 경보를 알리는 알고리즘이다. (그림 2. 참조)
 
 
3) 반달말 생물독성 산출식
 
반달말의 형광량을 최대형광량값(Fm) 과 형광량값(F)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광합성효율(Fluorescence Yield)을 구한다. (계산식은 수식1과 같다)
 
 
Fluorescence Yield Reference (YR)
= (FmR-FR) / FmR
 
Fluorescence Yield Sample (YS)
= (FmS-FS) / FmS
---- 수식 1
<광합성효율식>
 
또한 시료수(Sample)와 기준수(Reference)를 동시에 측정하여 양쪽의 광합성효율(Y) 값을 산출함으로써, , 시료수에 독성물질이 유입되면 시료수광합성효율이 감소함을 독성값으로 표현한다.
 
 
WEM-TOX(%) = (YR-YS) / YR * 100
 
YR: 기준수의 광합성효율
YS: 시료수의 광합성효율
---- 수식 2
<독성값 산출식>
 
따라서, 반달말 생물감시장치는 기준수와 측정수에 대한 매번 동시측정과 배치방식(측정셀 방식)을 하고 있기에 측정의 정량성 및 재현성이 매우 높고, 독성물질 유입시에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국내외 설치실적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환경공단, K-water 등 48개소 운용 중)

국내외 설치실적(48여곳 설치 운영 중) 2022.1 현재

납 품 처

품 목

수량

납품일

설 치 장 소

한국수자원공사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8

2021.12

팔당 1 취수장

팔당 3 취수장

덕소취수장

충주정수장

보령정수장

금산취수장

부안취수장

2021. 04

구미정수장

울진군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20. 09

울진군 근남정수장

장항국가산업단지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9. 04

장항산단 폐수처리장

서울시 상수도본부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8. 12

서울시 풍납취수장

성주군 산업단지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2

2016. 07

성주군 완충저류시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5. 10

대구시 문산정수장

서울시 상수도본부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5. 06

서울시 자양취수장

문경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5. 01

문경시 문경정수장

한국수자원공사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4. 12

순천시 주암취수장

울진군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4. 10

울진군 평해정수장

연천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4. 10

연천군 연천정수장

한국 환경공단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4. 10

영천시 완충저류시설

문경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4. 09

문경시 흥덕정수장

거창군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4. 06

거창군 정수장

춘천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3. 11

춘천시 용산정수장

부산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3. 09

부산시 회동 취수장

1

2013. 09

부산시 물금취수장

밀양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3. 06

밀양시 교동정수장

한국수자원공사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3. 06

팔당 2 취수장

경산시 상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2. 12

경산시 경산정수장

서울시 상수도본부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2. 11

서울시 강북취수장

창녕시상.하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2. 04

창녕군 폐수처리장

익산시상.하수도사업소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12. 04

익산산단 완충저류시설

중국 사천성

수질감측구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5

2012. 03

웨스텍엔지니어링

2010. 10

자양성 수질자동측정소

2010. 10

금당현 수질자동측정소

2010. 06

호북성 무한수질측정소

2008. 07

사천성 환경국

한국 환경공단

(국가수질측정망)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5

2010. 10

여주 국가수질측정소

2010. 10

원주 국가수질측정소

2010. 10

구리 국가수질측정망

2010. 10

서창교 국가수질측정소

2010. 10

구미 국가수질측정소

한국 환경공단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09. 11

동북호 국가수질측정소

아산시 테크노벨리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09. 11

아산테크노벨리

일본 쿄토대학교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2

2009. 07

쿄토대학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09. 06

선유도 수질측정소

한국 환경공단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08. 12

대청호 국가수질측정소

SEIKO 전기

반달말 생물감시장치

1

2007. 11

일본 후쿠오카 텐진

2014년 12월 11일 목요일